매개체 감염병관리사업
매개체 감염병관리사업
취약지 방역소독 활동
취약지 현황 파악
대 상
- 하수구 및 비위생적인 지역
- 쓰레기 매립장, 늪, 장기간 고인물이 있는 곳 등 비위생적인 지역
- 집단수용시설, 항·포구 관광유원지
- 홍수, 침수지역 등 재해지역
- 검역구역 내 취약시설(관할 검역소장이 판단)
- 대규모 전국대회 및 국제대회 행사장 및 선수단 이용시설 등
- 기타 다수인이 이용하는 시설
현황파악
취약지역에 대한 인구, 면적 및 취약요인 등을 정밀 분석하여, 사업 개시 전에 관리계획을 수립
감염병 예방관리활동 추진
감염병 발생 취약지역, 집단수용 시설, 기타
- 동계(10월∼3월) : 2주 1회 이상
- 하계(4월∼9월) : 주 1회 이상
- 취약지역 분석을 통해 자체적으로 계획 수립 및 시행
자율방역단 운영
- 기간 : 5월 ~ 9월
- 목적 : 하절기 매개해충 방제를 위한 민·관 합동방역 실시, 주민들의 자율적인 참여로 마을의 세부적인 취약지 관리 가능
- 단체 :12개 단체
방역의 종류 및 장·단점
구분 | 분무소독 | 연막연무소독 | 유충구제 |
---|---|---|---|
장점 |
|
|
|
단점 |
|
|
|
살충제 안전취급관리
방제용으로 사용하고 있는 살충제는 인축에 대한 독성이 낮다 하더라도 어느 정도 독성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살충제를 취급하거나 작업할 때도 주의 필요
- 방제 활동 이전(24시간 전) 방제에 사용될 약제, 방제방법, 방제실시 시간 등의 구체적인 방제실시 내역을 공지
- 살포 작업자는 모자, 안경, 마스크 그리고 장갑을 착용하여 작업 중 살충제가 피부에 닿
- 작업 시에는 바람을 등이나 옆으로 받도록 방향을 잡아 살충제 입자가 몸이나 옷에 닿지 않도록 주의
- 작업은 1일 4시간 이상 하지 않으며 작업 중 음주나 흡연은 금하고 음식이나 음료수를 먹을 때에는 손과 얼굴을 비눗물로 씻은 후 섭취
- 사용하고 남은 희석된 살충제는 모기가 들어갈 수 있는 창문이나 방충망에 잔류 처리하
- 작업 중 살충제가 피부에 묻었을 경우 즉시 작업을 중단하고 비눗물로 깨끗이 세척
- 작업 후 반드시 비누로 샤워나 목욕 실시
- 담당자예방관리과 김혜진
- 연락처033-539-8705